차세대의 거인으로 도약할 것인가, 경제 동물로 전락할 것인가?InsightFebruary 8, 2022세계무대에 당당히 섰다는 코스모폴리탄의 환상. 이대로 차세대 ‘경제 동물’로 등극할 것인가?
거대한 활(long bow)을 들어 문제를 해결할 때다InsightJanuary 4, 2022글로벌 위상의 변화를 이끈 시민의 발전. 시민의 지속 발전을 위한 ‘롱보우’(long bow) 전략이 필요하다.
영상 레터 1News LetterSeptember 21, 2019아르스 프락시아가 지난 수년간 관찰해 온 ‘남녀’ 갈등의 기저에 있는, 한국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근본적인 어려움들에 대해 화두를 꺼냅니다.
데이터 사이언스의 창으로 혁신 담론 성찰하기: 키워드의 ‘신기루’를 넘어서InsightJuly 14, 2019데이터 사이언스를 통해 최근의 트랜드를 보니 한국의 혁신 담론은 신기루 같다. 신기루에 현혹되지 않고 생존하려면?
데이터로 보는 변화의 방향과 사회혁신의 조건InsightMay 20, 2019모두가 데이터와 플랫폼에 대해 얘기하지만 정작 사람들의 태도는 구태의연하다. 무엇이 사회 혁신을 추동하나?
텍스트 마이닝의 방법론과 실제: 경험적 관점InsightNovember 29, 2017빅데이터 시대에 기존의 텍스트 마이닝은 변화를 겪고 있다. 어떤 방법들이 중요한지 기초부터 설명한다.
다크소셜을 넘어서InsightOctober 25, 2017소셜분석의 진보를 위한 비전과 방법론. “만약 당신이 현재 소셜 분석의 퍼포먼스에 대해 불만이라면, 똑똑한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조직부터 먼저…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인식론적 과제InsightFebruary 16, 2017빅데이터는 사람이 분석하고, 기계는 프로세싱을 한다. 많은 이들이 이 점을 간과한다. 정작 사람이 갖춰야 할 지적 능력과 지향은 무엇일까?